본문 바로가기
  • 공부와 일상

전체 글31

0409 2022. 4. 9.
수목치료기술자_수목해충학 과제 2022. 4. 8.
수목치료기술자_0407_4일차 오전 09-11 / 정책 및 법규 산림정책 및 관계법령 p.97~135 1. 산림보호법 2.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 및 방제지침 3. 농약관리법 4. 기타(외국의 관련제도 및 법령) 오전 11 - 오후 18시 / 수목병리학 수목병리학 p.41-94 제 1장 수목병리학의 일반 Robert Hartig - 수목병리학의 아버지 우리나라 주요 수목병 -포플러류 잎녹병 -잣나무 털녹병 -대추나무 빗자루병 -오동나무 빗자루병 -소나무 재선충병(시들음병) -소나무류 송진가지마름병(푸사리움가지마름병) -참나무 시들음병 병원체의 크기 바이로이드 < 바이러스 < 파이토플라즈마 < 세균 < 진균(곰팡이) < 선충 현재까지 곰팡이가 수목에 가장 많은 병을 발생 병삼각형: 기주식물(소인) - 병원체(주인) - 환경(유인) 병.. 2022. 4. 7.
수목치료기술자_0406_3일차 오전 / 비생물적피해론 / 문*철 원장님 비생물적 피해론 p.299~308, 프레젠테이션 [생물적 피해] -증상부위: 대체로 나무 일부 -증상면적: 제한적 -증상진전도: 다양 -증상발현속도: 일정 시간 경과 후 비교적 서서히 -수종: 동일 종의 일부, 다른 종은 매우 드뭄 (종 특이성 높음) -생물적 병원체: 병환부에 존재 [비생물적 피해] -증상부위: 나무 전체 -증상면적: 넓음 -증상진전도: 균일(비슷) -증상발현속도: 보통 며칠 이내에 비교적 빠르게 나타남 -수종: 동일 종의 대부분, 경우에 따라 다른 종 (종 특이성 낮음) -생물적 병원체: 없음 [나무의 피해진단 과정] *진단: 나무에 나타난 외부증상, 발병환경, 관리이력을 조사, 피해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 1. 정상과 비정상의 구분 (나무의 기.. 2022.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