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수목치료기술자

수목치료기술자_0404_1일차

약과씨 2022. 4. 4. 23:44

오전 / 농약학(김*하 교수님) - 살충제

 

농약학 p.192~208 / 수목해충학 p.291~295

 

[1. 살충제 개발의 역사]

 

~1940

/ 무기화합물, 천연유기화합물  

 

40~50년대

/ 유기염소계, 비선택성 유기인계  

 

50~60년대

/ 선택성 유기인계 

 

60~70년대

/ 카바메이트계, 네레이스톡신계

 

70~80년대

/ 피레스로이드계, 미생물살충제, 곤충성장 조절제(키틴생합성 저해제)

 

90~현재

/ 곤충성장 조절제(키틴생합성 저해제, 탈피 저해제), 네오니코틴노이드계,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 스피노신계,

테트로닉산과 테트라믹산계, 디아마이드계

 

[2. 살충제의 분류]

 

1) 체내 침입 경로

 

1. 식독제(소화중독제)

2. 접촉독제(침투X)

3. 침투성 살충제

4. 훈증제

5. 유인제

 

2) 화학구조에 따른 분류

 

1. 무기 살충제

2. 천연유기 살충제

3. 유기합성 살충제

> 유기염소계, 유기인계, 카바메이트계, 합성피레스로이드계, 벤조일우레아계, nereistoxin계,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마크로라이드계, 디아마이드계

4. 유기합성 살응애제(살비제)

> 유기유황계, 유기주석계, 항생물질계, 기타(옥사졸린, 테트로닉에시드, 테트라진계)

5. 유기합성 살선충제 > 선충탄입제, 메탐소듐

6. 유기합성 살연체동물제 - 달팽이류 방제

 

 

[3. 살충제의 작용기작]

> 신경게 저해제 / 에너지대사 저해제 / 곤충성장 조절제

 

살충제 작용기작별 그룹 및 국내 적용 분류 (코드) > 농약학 p.201 참고

 

 

[4. 살충제의 저항성]

> 한 가지 농약의 연속처리가 주된 요인

>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되어 약제에 견딜 수 있는 능력이 발달하여 후대에 유전(=저항성, resistance)

> 단기적으로 감수성이 저하된 상태로 후대에 유전되지 않을 경우? = 내성(tolerance)

 

[5. 살충제의 합리적 사용]

-약제 저항성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반전현상(resurgence)을 방지해야 한다.

*반전현상: 살충제 사용으로 천적류의 감소나 기타 원인으로 해충 밀도의 회복 속도가 빨라지는 현상

원인 - (살충제에 의한) 천적류의 파괴, 경쟁자 제거, 해충에 생리적으로 유리한 영행을 주는 것

 

-살충제저항성위원회(IRAC) 제시한 관리기준 준수

 

-작용기작이 다른 살충제의 교호 사용으로 저항성 발달 억제

 

-살충제 살포를 기록: 약제살포 전후의 해충 발생정도, 방제효과를 기록 > 다음 방제에 반영한다.

 

 


 

오후 / 소양교육(이*희 교수님)

 

소양교육 p.221~286

 

[산림기상학]

물의 순환, 대기, 기압과 기단, 바람, 구름, 기온, 습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