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4-5월, 다양한 수목 피해 사례 조사

약과씨 2022. 5. 16. 00:01

혹벌류 피해증상
충영 속의 유충
추가로 밤나무 혹응애의 피해도 보인다

밤나무 혹벌류의 피해 추정.
청설모나 다람쥐가 저 애벌레를 파먹는지
산에 가면 혹이 깨진 채 땅에 떨어져있다.


수원 팔달문 화성행궁 근처의 벚나무

자낭균류에 의한 벚나무 빗자루병 추정.
대표적인 총생 증상이 보인다.



미동정 유충류에 의한 피해
개나리잎벌 유충피해

미동정 유충류에 의한 피해



철쭉류 떡병 증상
습하고 햇빛이 차단된 곳에 발생

햇빛을 쬐면 안토시아닌 색소의 축적으로 인해
붉어진다고 한다.

담자균류에 의한 철쭉류 떡병 증상 추정
하얀 가루가 발생하며 잎 부분이 부풀어오른다.
옥신의 과다 생성으로 인해 비대성장한다고 배웠다.



잘못된 전정 사례 - 두절 및 도포제 미사용

비생물적 피해 - 뿌리조임 피해 사례


사자꼬리 전정? 원래 수형이 이런지 모르겠다.

물향기 수목원의 습지 주변 숨틀 작업

부후로 인한 단풍나무류 공동 발생

벚나무류 갈라짐 및 부후피해

소나무 혹병(녹병) 피해 추정

노란색 포자가 보이지 않아서
세균성 혹병 피해일지도 모르겠다.


자세히 보면 벌채목 단면에 벌레가 보인다
미동정 풍뎅이류

몸에 톱밥을 묻힌 걸 보면
벌채목 속에서 부화한 듯 싶은데
정확한 이름을 아시는분은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참나무류 흰가루병 피해증상

갈참인지 신갈인지 헷갈리는데 갈참나무같다.


비생물적 피해 - 지지대 관리 부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