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4-5월, 다양한 수목 피해 사례 조사
약과씨
2022. 5. 16. 00:01




밤나무 혹벌류의 피해 추정.
청설모나 다람쥐가 저 애벌레를 파먹는지
산에 가면 혹이 깨진 채 땅에 떨어져있다.


자낭균류에 의한 벚나무 빗자루병 추정.
대표적인 총생 증상이 보인다.





햇빛을 쬐면 안토시아닌 색소의 축적으로 인해
붉어진다고 한다.

담자균류에 의한 철쭉류 떡병 증상 추정
하얀 가루가 발생하며 잎 부분이 부풀어오른다.
옥신의 과다 생성으로 인해 비대성장한다고 배웠다.








노란색 포자가 보이지 않아서
세균성 혹병 피해일지도 모르겠다.


몸에 톱밥을 묻힌 걸 보면
벌채목 속에서 부화한 듯 싶은데
정확한 이름을 아시는분은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갈참인지 신갈인지 헷갈리는데 갈참나무같다.
